교육과정
▶ 경찰학개론I (Introduction to Police Science)
경찰행정의 본질, 경찰 행정학의 발전과정, 각국의 경찰조직, 경찰인사행정, 경찰조직관리, 경찰재무관리 등 경찰행정학 전반에 관하여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현대사회와범죄 (Modern Society and Crime)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범죄의 종류와 그 형태를 살펴, 범죄의 원인을 연구하여 이를 예방하는 대책을 강구한다.
▶ 민간경비론 (private security)
경찰 등의 공경비영역의 확대에 따라 공경비의 공백이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공백을 사적인 영역에서 보충하고자 하는 수요로 이어지고 이러한 것을 민간경비라고 칭한다.
이러한 민간경비에 관한 근본지식와 민간경비업을 운영함에 따른 제도적, 법적 문제를 이해한다.
▶ 생활안전경찰 (Policing Public Safety)
방범활동, 외근순찰활동, 풍속사범 및 각종 영업단속, 특수물건의 취급 및 단속, 경범죄처벌법 및 경찰관 직무 집행법 상의 각종조치에 관한 기본지식을 터득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형사소송법Ⅰ (Criminal ProcedureⅠ)
형사소송의 개념과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형사절차법의 기초이론 및 수사절차를 포함한 소송절차상의 내용을 습득함으로써 절차법으로서의
형사소송법의 적용절차에 관한 기본적인 규범체계를 연구하여 정의로운 형사사법을 모색한다.
▶ 경찰행정법 (Police Administrative Law)
행정법상의 경찰의 개념․경찰제도․경찰의 종류 들을 살펴보고 경찰의 조직과 작용 등에 관련된 경찰행정법규의 이해를 도모하며, 민주적이고 합법적으로 경찰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습득시킨다.
▶ 체포술 (Arrest Tactics)
경찰관으로서의 임무수행, 범죄의 예방과 진압에 필요한 신체의 단련과 인격의 도야를 꾀함과 동시에 범인 체포상의 특수기술을 습득한다.
▶ 경찰작용론 (Critical Issues In Police)
경찰작용론은 경찰의 전박전인 기능에서 현재 경찰이 직면하고 있는 당면과제를 주요 이슈로 선정, 이슈별로 그 내용을 검토하고,
외국정책과의 비교, 그리고 관련 대책 등을 모색하는 학과목이다.
▶ 사이버범죄학 (Cyber Crime)
정보통신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도 인간의 생활영역이 되었고 이를 이용한 해킹, 명예훼손, 스펨메일 등의 범죄행위도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범죄현상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범죄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보통신망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범죄현상을 파악한다.
▶ 경찰윤리학 (Police Ethics)
국민 전체의 봉사자로서 책임감 있고 청렴한 경찰공무원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고자 윤리학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고,
이상적인 경찰관상을 확립하기 위하여 공직윤리에 관한 법규 및 헌장을 숙지케 한다.
교과목
학점인정과정 (평가인정학습 과목)
스포츠마케팅, 레저스포츠개론, 레저경영관리론, 레저서비스론, 레저시설환경론, 레저사업론,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생체영학, 운동역학, 레저스포츠지도론,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체육사, 스포츠센터실습, 스포츠사회학, 체육측정평가, 사회체육개론, 생활체육론, 스포츠영양학,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응급처치, 체육학개론, 운동검사및처방, 축구, 골프Ⅰ, 골프Ⅱ, 수영, 배드민턴, 수상스키, 댄스스포츠, 검도, 스쿼시, 스키, 농구, 볼링, 테니스, 에어로빅, 탁구, 유도, 호신술, 응급처치, 트레이닝방법론, 태권도, 법학개론
경찰행정학, 경호방법론, 경호학개론, 민간경비론, 테러학, ,경찰학개론, 형사소송법, 형법, 경찰수사론, 범죄학개론, 범죄심리학, 체포술, 생활예절
비학점인정과정 (전공심화 과목)
국가정보학, 범죄수사론, 경찰행정학, 한국사이해, 경호학, 형사소송법, 경착조직관리, 경찰인사관리, 경찰법, 헌법, 범죄학, 교도행정, 헌법학개론